강좌개요 | 변동성이 심한 가변재생에너지 수용률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전력망 유연성과 안정성 확보가 필수적이다. 풍력발전은 회전체에 저장된 운동에너지를 컨버터를 이용하여 제어함으로써, 가변재생에너지 수용률이 높은 전력망의 유연성과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는 발전원이다. 본 강좌에서는 가변재생에너지 수용률 향상을 위해 필요한 제반 사항을 살펴본다. |
강좌목표 | 본 강좌에서는 풍력기술 개발 동향과 가변재생에너지 수용률 향상을 위해 필요한 제반 사항 즉, 풍력발전의 출력예측, 가변재생발전원의 변동성 수용을 위한 전력시장 개선, 전력망 연계기준, 풍력발전의 합성 관성 기술 및 주파수 평활화 기술에 대한 기본 개념을 숙지한다. |
대한전기학회 | 비회원 | |
정회원 | 학생회원 | |
400,000원 | 360,000원 | 440,000원 |
3월 29일 (1일차) | ||
시간 | 제목 | 강사 |
10:00~10:50 | 에너지 대전환 시대와 전력망 이슈 | 강용철 (연세대학교) |
11:00~11:50 | 풍력기술 개발 동향과 산업 전망 | 권기영 (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) |
12:00~12:50 | ||
중 식 | ||
14:00~14:50 | 재생에너지 변동성 수용을 위한 전력시장과 발전계획 |
박종배 (건국대학교) |
15:00~15:50 | ||
16:00~16:50 | ||
3월 30일 (2일차) | ||
10:00~10:50 | 전력망의 Normal operation : 유연성(Flexibility) | 강용철 (연세대학교) |
11:00~11:50 | 전력망의 Contingency operation : 안정성(Stability) | |
12:00~12:50 | ||
중 식 | ||
14:00~14:50 | 풍력발전기의 구조 및 동작 원리 | 송승호 (광운대학교) |
15:00~15:50 | 전력망 연계기준의 주요 항목별 이해 | |
16:00~16:50 | ||
3월 31일 (3일차) | ||
10:00~10:50 | 풍력발전 출력예측 및 알고리즘 구현 | 허진 (이화여자대학교) |
11:00~11:50 | ||
12:00~12:50 | ||
중 식 | ||
14:00~14:50 | 전력망 안정성 확보를 위한 풍력발전기의 합성 관성 기술 | 강용철 (연세대학교) |
15:00~15:50 | ||
16:00~16:50 | 전력망 유연성 확보를 위한 풍력발전기의 주파수 평활화 기술 |
(06130)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(역삼1동 635-4) 과학기술회관 1관 901호
사업자등록번호 : 220-82-01690 / 대표 : 이준호
COPYRIGHT ⓒ KIEE ALL RIGHTS RESERVED.